기사 메일전송
수원특례시, 아동학대 실태조사하고 아동보호정책 기틀 마련 - 제1차 아동학대 실태조사 및 보호정책 연구’ 최종 보고회 개최 ◦아동과 아동보호자를 비롯한 성인, 신고 의무자 등 2011명 대상으로 아동학대 실태 조사 - ◦‘아동 학대 발견·예방에 가장 필요한 것’, ‘아동학대 행위자에 대한 처벌 강화’가 가장 많아 - ◦피해 아동 연령대, 학령기(7~12세)가 가장 비율 높아
  • 기사등록 2022-09-19 02:41:50
기사수정

수원특례시가 16일 1차 아동학대 실태조사 및 보호정책 연구’ 최종 보고회를 열고 있다.

 




 수원특례시가 아동과 아동보호자를 비롯한 성인신고 의무자 등 2000여 명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실태를 조사하고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대아동 보호 방안을 마련했다.

 

 수원특례시는 16일 수원아동보호전문기관 세미나실에서 1차 아동학대 실태조사 및 보호정책 연구’ 최종 보고회를 열었다지방행정발전연구원이 수행한 연구용역은 지난 3월부터 6개월 동안 진행됐다.

 

아동과 성인신고 의무자 등 대상으로 아동학대 인식 조사

 지난 5월 2일부터 6월 10일까지 아동과 아동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신고 의무자 등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관련 시민 인식조사를 했고아동 1067아동보호자 등 성인 650신고 의무자 294명 등 총 2011명이 설문에 참여했다.

 

 응답자 중 아동학대신고 기관을 알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아동 24.5%, 성인 31.1%, 신고의무자 59.5%였다.

 

 아동 학대 발견·예방에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아동학대 행위자에 대한 처벌 강화가 평균 40.2%(아동 49.7%, 성인 43.8%, 신고의무자 27.2%)로 가장 비율이 높았고아동 관련 기관의 수시 교육·평가(14.6%) 경찰과의 업무협조 체계 구축(13.5%)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및 관련 지역사회 전문가를 위한 매뉴얼’(12.2%) 아동학대 행위자에 대한 치료적 개입 확대(11.1%)가 뒤를 이었다.

 

아동학대 의심 사례 신고 접수 지난해 1097

 최근 4년간(2018~2021수원시의 아동학대 실태도 분석했다아동학대 의심 사례 신고접수 건수는 2018년 918, 2019년 970건으로 큰 차이가 없다가 2020년 670건으로 전년보다 30.9% 감소했다하지만 2021년 1097건으로 전년보다 63.7% 증가했다.

 

 신고의무자 유형은 2020년까지 초··고교 직원이 가장 비율이 높았지만아동보호전문기관 종사자 등이 신고의무자로 구분된 2021년에는 아동보호전문기관 종사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고교 직원 비율은 2020년 53.5%에서 2021년 25.5%로 감소했다.

 

 아동학대의심사례 1건당 현장 조사 횟수는 2018년 1.7, 2019년 2.9, 2020년 3.6회 2021년 2.5회였다.

 

 최근 4년간 아동학대로 판단된 사례 중 피해 아동 성별은 남아가 48.0%(1132), 여아가 52.0%(1225)이었다연령대는 학령기(7~12)가 가장 비율이 높았고청소년기(13~18), 보육기(4~6)가 뒤를 이었다. 2021년 기준으로 학령기가 42.5%, 청소년기가 36.8%, 보육기 11.8%였다.

 

학대행위자친부 49.3%·친모 37.5%,

 피해 아동 가족 유형은 친부모 가정이 61.1%(2021년 기준)로 가장 많았고, ‘모자 가정’(15.5%), ‘재혼 가정’(7.3%) 순이었다학대 행위자는 부모가 가장 많았는데친부가 49.3%, 친모가 37.5%, 계부 3.7%, 계모 0.7%, 양부 0.3%, 양모 0.3%였다.

 

 학대 유형(2021년 기준)은 신체·정서 학대’(중복 학대)가 44.7%로 가장 많았다. ‘정서 학대’(23.5%), ‘신체 학대’(13.6%), ‘방임’(9.9%), ‘성학대’(2.4%)가 뒤를 이었다. ‘학대 행위자 조치 결과’(2021년 기준)는 고소·고발·사건처리가 53.3%로 가장 많았고, ‘지속관찰(모니터링)’이 45.3%였다.

 

학대 피해 아동 진술 최소화 시스템 구축 등 제안

 연구진은 아동학대보호정책 수립 방안으로 위기 아동 발굴조기 개입 강화 아동 부담 최소화를 위한 대응 절차 개선 아동학대 대응 인프라 강화 예방교육캠페인 활성화 등을 제안하고세부 사업을 제시했다.

 

 주요 제안사업은 학대 피해 아동 진술 최소화 시스템 구축’, ‘영유아 전용 위탁가정 발굴’, ‘미취학 아동 부모 대상 양육 스트레스 검사’, ‘임신출산입양초기 (예비)부모 교육’ 등이다

 

 수원특례시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12월 6일 아동정책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수원특례시 관계자는 아동학대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아동학대 실태조사를 했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원시 아동보호정책을 더 촘촘하게 구축해나갈 것이라며 아동이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아동친화도시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수원특례시는 지난 5월부터 경기도에서 처음으로 아동학대 공동대응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수원특례시 아동학대 공동대응센터(With Us)’는 수원남부경찰서가 수원시에 설치를 건의한 후 세 차례 실무협의를 거쳐 설치됐다아동학대 사건이 발생했을 때 관련 기관이 신속하게 공동 대응하는 역할을 한다수원시와 수원교육지원청수원 남부·중부·서부경찰서수원아동보호전문기관 등 6개 기관이 참여해 공동대응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2-09-19 02:41:50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유아 북스타트운동-책&토론 가까이하…
유니세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